본문 바로가기
진진_정보 트리

[지식 한스쿱] "🇨🇳 중국과의 무역 축소, 그리고 🌎 글로벌 관세 협상의 방향은?"

by One-scoop 2025. 4. 21.
반응형

무역

 

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고 있는 요즘, 각국은 자국의 산업 보호와 전략적 이익을 고려한 무역 정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. 특히 중국과의 무역 의존도를 조정하거나, 미국 및 주요 국가들과의 관세 협상을 새롭게 정비하려는 움직임이 늘고 있습니다.

이번 글에서는 중국과의 무역 축소 시 장단점, 그리고 글로벌 관세 협상의 기회와 위험 요소를 함께 정리해 보겠습니다.


중국과의 거래 축소 시 고려할 장단점

✅ 장점

  • 자국 산업 보호를 통해 국내 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.
  • 중국 의존도를 분산함으로써 공급망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.
  • 기술 유출 및 불공정 무역 관행에 대응하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.
  • 국내 생산 확대에 따라 일자리 증가 및 고용 안정 효과가 기대됩니다.

❌ 단점

  • 저렴한 중국산 부품 수입이 줄어 생산비가 상승하고, 이는 소비자 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  • 중간재 수급 차질로 제조업 전반에 부담이 생길 수 있습니다.
  • 수출 기업의 실적 악화로 경제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  • 중국의 보복 조치로 외교 및 무역 마찰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.
  • 글로벌 공급망에서의 단절로 산업 전반의 불안정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.

🌎 미국 및 주요 국가와의 관세 협상

✅ 장점

  • 관세 협상을 통해 자국에 유리한 무역 환경을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.
  • 특정 산업 보호를 위한 정책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.
  • 협상을 통해 시장 개방과 수출 기회 확대가 가능합니다.
  • 무역 불균형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계기가 됩니다.
  • 전략적 동맹국과의 협력을 통해 경제안보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.

❌ 단점

  • 협상이 장기화되면 무역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.
  • 상대국의 보복 관세로 산업에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• 일부 품목에서 수입물가 상승으로 소비자 부담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.
  • 다자간 무역 질서의 균형이 흔들릴 우려도 존재합니다.
  • 외교적으로 정치적 긴장이 고조될 가능성도 있습니다.

🌐 세계 주요 국가 평균 관세율 (2024년 기준)

국가전체 평균 (%)농산물 (%)비농산물 (%)
🇺🇸 미국 22.5–25.1 30.0 20.0
🇨🇳 중국 44.0 50.0 40.0
🇯🇵 일본 34.0 45.0 25.0
🇻🇳 베트남 56.0 60.0 52.0
🇰🇭 캄보디아 59.0 65.0 55.0
🇱🇰 스리랑카 54.0 60.0 50.0
🇪🇺 유럽연합 20.0 25.0 18.0
🇬🇧 영국 10.0 15.0 8.0
🇰🇷 한국 13.0 50.0 8.0
🇸🇬 싱가포르 0.0 0.0 0.0
🇭🇰 홍콩 0.0 0.0 0.0
🇦🇺 호주 2.5 1.0 2.7
🇬🇪 조지아 0.0 0.0 0.0
🇲🇽 멕시코 7.0 10.0 6.0
🇧🇷 브라질 13.5 35.0 10.0
📌 출처: 세계무역기구(WTO), World Tariff Profiles 2024

 

📌 참고사항

  • 미국(2025): 모든 수입품에 최소 10% 기본 관세. 중국에는 최대 145%까지 부과.
  • 농산물: 곡물, 식료품 등
  • 비농산물: 기계, 전자, 섬유, 자동차 등
  • 무관세 국가: 싱가포르, 홍콩, 조지아 등은 대부분 품목에 무관세 유지.

✍️ 

무역 정책은 단순한 수입·수출의 문제가 아니라, 산업 구조, 고용, 외교, 안보까지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인 이슈입니다.
중국과의 전략적 관계 재정립, 미국 및 다른 국가와의 협상 모두 신중하면서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습니다.

 

지식 한스쿱이였습니다.

좋은 하루 보내세요.

 

 

반응형